안녕하세요.
|
혜온입니다.

2021 회고

어째서인지 2021년이 끝나고도 16일이나 지나고 말았다. 1월의 중반에서야 2021년 한해, 21살의 나를 돌아보았다. 아래에서 다시 이야기하겠지만 작년 회고에서 다짐했던 2021년의 목표인 ‘기록하기’를 제대로 하지 않아 이번에도 캘린더 앱과 투두메이트 그리고 슬랙 히스토리의 도움을 받았다. 올해야말로 정말 꼭… 🧑‍💻 이직 (부제: 트위터로 이직하기) 이직을 했다. 생애 첫 회사를 떠나 생애 첫 이직 절차를 거쳐 두 번째 회사에 합류한 지도 2022년 1월 기준 9개월 정도 되었다. 이직하는 과정에 꽤 다이나믹해서 나중에 연사할 때 써먹어야지 했는데 연사를 할 용기도 없고, 코로나 때문에 행사도 잘 열리지 않아서 그냥 회고에다가 쓰기로 결정했다. 첫 회사에서 계속 코드를 복붙하는 작업방식과 HTML5, SCSS, jQuery를 사용하는 기술 스택에 지루함을 느낄때 쯤, 트위터 타임라인을 내리다가 현재 회사의 채용 공고를 보게 되었다. PD라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겠지만 이게 무슨…

January 16, 2021
회고
우리, 코드 리뷰 해볼래?

🤔 왜 코드 리뷰를 시작했나요? 현재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는 코드 리뷰 문화가 없습니다. 사내 소스 관리 툴인 GitLab에 Merge Request를 올리고 본인이 본인의 Merge Request를 승인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관리하고 있죠. 빠르게 패치해야하는 hotfix건이 많아 코드 리뷰를 할 시간도 없고, 리뷰 문화에 익숙한 사람도 없는 이유로 코드 리뷰 문화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코드 리뷰를 진행하지 않고 본인의 코드를 본인이 Merge하는 절차를 따르다 보니 크고 작은 문제들과 불편함이 생겼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들을 예를 들어보면, 한 쪽 파트에서 수정한 사항 때문에 다른 쪽 파트 로직도 함께 바뀌어야 할 때 전달 및 검토가 되지 않는 경우 미처 발견하지 못한 오타가 있는 경우 또 이런 아쉬움도 생겼습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한 새로운 로직을 제안받고 싶다. 리팩토링 등으로 코드나 로직이 바뀌었을 때 그렇게 변경한 이유가 궁금하다. 변경사…

January 03, 2021
HYE-ON.log
2020 회고

다이어리와 캘린더 앱과 사진 갤러리의 도움을 받아 2020년을 돌아보았습니다. 1월의 기억이 아직 생생하게 남아있는데 벌써 12월의 마지막 주라니… 20대가 되면 시간이 정말 빨리 흘러간다는 어른들의 말이 거짓말이 아니었음을 실감했습니다… 🗞 올해의 빅뉴스 2020년 올해의 기억할만한 큰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한 해가 넘어가며 제가 할 수 있는 것도, 책임을 져야 할 것도 많아진 것 같네요. 🎓 졸업! 올해 저는 2020년을 맞아 20살 성인이 되었습니다! 한참 멀 것 같던 으른이 12시 땡 하자마자 되어버리더라고요. 어쩐지 허무한 느낌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느낌도 있었지만 그래도 꿈에 그리던 20대가 되어서 행복했습니다! 코로나가 막 퍼지기 시작한 1월 말이 졸업식이었는데 그래도 다른 학교들보단 이른 편이어서 취소되지 않고 교실에서 진행한 기억이 있네요. 너무! 행복했습니다! 학교 안녕!!! 👋 📎 다른 일상 코로나로 개학과 개강이 밀리고 대학 입학식이 취소되는 친구들을 보며…

December 30, 2020
회고